1 / 1
" 기업공작"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18정보직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이론요약 표지 [출처=엠아이앤뉴스]◈질문 내용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이론요약 203p 관련 질문9장 산업정보활동에 대한 질문입니다. 대인공작 vs 금전공작의 차이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대인공작과 금전공작 둘 다 사람을 통해서 산업 정보를 빼내오는 방식인데...대인공작도 약점이 없는 경우 회유를 한다고 써 있습니다. 그럼 회유의 조건에 돈을 통한 방식이 포함될 여지가 높은데, 대인공작과 금전공작의 근본적이 차이점이 뭔가요? '돈'이 개입되는지 아닌지로 구분하는 건가요?--> 예. 대인공작과 금전공작의 차이는 회유하는 방법에 돈이 개입하는지에 있습니다. 대인공작은 공작의 목표인 사람의 기본적인 감정을 활용하고 금전공작은 돈으로 회유합니다.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 )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3-04-04국정원 국가정보적격성검사(NIAT)-직무와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22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427p 관련 질문39번에 보면 합법적인 상거래에 의한 산업정보 수집 방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인데 답이 인력 스카우트더라구요. 그런데 390p에 보면 합법적인 수집수단 중에 상거래 협상에 의한 수집에 인력 스카우트가 들어가 있고 나머지 선지도 다 상거래 수집 방법으로 들어가있습니다. 대신 상거래 수집에는 그냥 기업의 M&A가 들어가 있는데, 선지 3번인 적대적 M&A는 기업공작 중에 원칙적으로는 합법이지만 불법행위가 개입되는 경우가 많아서 불법적 수단으로 분류되어 있잔아요. 그래서 혹시 답이 인력 스카우트가 맞는 것인지, 아니면 적대적 M&A인 것인지 궁금합니다. -->적대적 M&A는 기업간의 상거래에 의한 것이고, 인력스카우트는 기업이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력 스카우트가 정답입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3-02-15국정원 국가정보적격성검사(NIAT)-직무와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19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202p & 364p 관련 질문Q1. 202쪽 78번 관련 정답이 4번으로 되어 있습니다. 문제 지문이 ‘정보분석관의 오류에 포함되는 것은?’입니다. 그렇다면 ①~③번 보기 모두가 오류에 해당합니다. 문제가 오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아닌지요?-->정답은 4번입니다. Q2. 364쪽 39번 관련 정답이 2번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332쪽에 보면 상거래 협상에 의한 수집에 기술제휴, 합작사업, 주요인력 스카우트, 기업M&A, 기술개발 의뢰, 컨설팅계약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오히려 333쪽에 기업공작의 불법적 수단에 적대적 M&A가 있습니다. 따라서 답은 3번이 아닌지요--> 2번이 맞습니다. 인력 스카우트는 합법과 불법이 모두 있는데 정확하게 판단하기 모호한 경우가 많습니다. 전직금지 기간, 영업비밀보호의무를 위반한 경우 등만 불법입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3-02-15국정원 국가정보적격성검사(NIAT)-직무와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19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332p, 333p, 364p 관련 질문Q1. 332p 내용1. 합법적인 산업정보의 수집수단(1)공개정보의 수집(2)상거래 협상에 의한 수집: 기술제휴, 합작사업,주요 인력 스카우트, 기업의 M&A, 기술개발 의뢰.(3)인간정보 수단: 전문가 접촉,내부 핵심인력에 금전적 매수, 퇴직 기술자 및 내부고발자 활용 Q2. 333P 내용(4)기업공작ㄱ.합법적 수단: 기술협력, 공동 연구개발, 협력투자ㄴ.불법적 수단:적대적 M&AQ3. 364P 39번 문제정보기관이합법적인 상거래에 의한 방법으로산업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정답 ②① 기술제휴 ② 인력 스카우트 ③ 적대적 M&A ④ 컨설팅 관련 내용이 명확하지 않고 헷갈리게 정리돼 있습니다. 정보기관의 산업정보활동에서 합법과 불법의 기준이 무엇인지, 유사한 문제가 나오면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 고민됩니다. --> 정보기관의 산업정보활동은 아직 학문적으로 잘 정립되지 않은 분야입니다. 주요 인력 스카우트, 내부 핵심인력에 대한 금전적 매수, 적대적 M&A 등은 불법화 합법 사이에서 판단이 모호한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자의 행동, 지위, 지급되는 금원의 과다, 동원되는 수단 등 상황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해설(49)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객관식 시험문제는 100% 틀리거나 맞는 정답을 찾는 경우도 있지만 틀린 답이 2개 있지만 어느 것 하나가 더 많이 틀렸으면서 맞을 수도 있다면 그것이 정답이라고 봐야 합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18-07-28국정원이나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18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349p 39번 문제 관련 질문안녕하십니까? 9장 산업정보활동 연습문제에서 39번 문제의 답은 ④번 아닌가요? 해설과 정답이 서로 다르게 설명되어 있어 문의합니다!-- 39번의 정답도 ②번이 맞습니다. 기업 대한 컨설팅도 비용을 지급하고 정상적인 방법으로 산업정보를 수입하는 방법에 포함됩니다. 컨설팅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경쟁사나 주요 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컨설팅 했거나 관련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컨설턴트를 고용하는 방법으로 정보를 수집하게 됩니다. 일반인은 이해하기 어렵거나 익숙하지 않은 방법일지 모르지만 글로벌 기업에서는 빈번하게 활용하는 산업정보 수집방법입니다.‘민진규 국가정보학 8판’의 318p ‘2. 공작수단에 따른 구분’에 산업정보활동은 대인공작, 금전공작, 기술공작, 기업공작 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산업정보활동은 국가정보기관의 임무이기도 하지만 기업 자체적으로도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입해 추진하는 핵심 사업입니다.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