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집단사고"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정보직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이론요약 표지 [출처=엠아이앤뉴스]◈ 질문 내용 : 2025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4판 이론요약 56p 관련 질문P56 정보실패의 내적인 요인과 정보 외적인 요인으로 구분되어서 서술 됐는데요. 정보 실패가 정보 자체를 생산할때 정보 그 자체 문제가 있는게 내적인 요인, 정보 생산은 끝났고 정보랑 관계 없이 다른 요소로 문제가 생기는게 정보 외적인 요인으로 구분되는걸로 이해했는데요.이렇게 이해를 하니깐 정보 외적인 요소의 1번에 있는 '정보 분석의 정치화' 이게 정보 내적인 요인 같아 보여서 질문 드립니다.정보 분석을 할때 정보 수요자가 원하는 정치적 성향에 따라 정보 분석 집단이 그 내용을 분석하는 경우는 정보 생산의 단계에서 문제가 생긴건데 이게 정보 내적인 요인에 있는 '집단사고'랑 같은 경우 아닌가요?정보 분석 정치화에 예시로 2013년 이라크 전쟁의 빌미를 제공한 대량 살상무기에 대한 정보 보고서 오류가 나와 있는데....문제 풀이 때 이라크 대량살상무기는 전쟁을 하고 싶어하는 부쉬 행정부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CIA 집단이 정치화 되고 결국 그에 맞는 '집단사고'를 했다고 설명을 들었던거 같은데요. '정보분석의 정치화'가 정보 내적인 요인 같아보이는데 너무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정보실패의 내적인 요인은 정보분석관 및 정보분석팀 내부, 외적인 요인은 분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이라는 의미입니다.정보분석의 정치화와 집단사고는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집단사고가 반드시 정치화로 연결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정보분석관이 정치적인 요인이 아니더라도 집단사고를 하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 )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5-01-19▲ 2025 국정원 합격 가이드북 10판 표지 [출처=엠아이앤뉴스]개정 10판을 내면서... 2024년 12월 3일 늦은 저녁 우리나라 국민은 45년 만에 계엄령이라는 군사독재의 망령이 되살아나는 황당한 현실을 접했다.다행스럽게도 성난 시민의 적극적인 저항과 국회의 신속한 대처로 비상계엄령은 곧바로 해제됐지만 정치 혼란은 아직 해소되지 않았다.충격적인 것은 국군방첩사, 정보사, 경찰청 등이 국가안보의 최전선을 지키는 정보기관이 비상계엄령을 주도했다는 점이다. 군사 쿠데타를 탐지하고 예방해야 할 기관이 막강한 정보력과 군 장악력을 악용했다는 점을 용납하기 어렵다.필자는 지난 20여 년 동안 국가정보원 뿐 아니라 군 정보기관에 입사하려는 수험생을 지도해왔다. 학문을 가르치는 것을 넘어 정보소양과 인생철학, 사회적 가치, 정보기관의 바람직한 역할 정립 등을 무한히 강조했다.젊은 군인과 군무원이 소수 정치 군인이 주도한 5·16 및 12·12 군사 쿠데타와 같은 불행한 사태에 연루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항상 조직의 임무를 망각한 불법적인 명령을 거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국정원은 국가 최고 정보기관으로서 다른 정보기관이 내란과 외환을 획책하지 못하도록 예방하는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대통령이 비상계엄령을 강력하게 주도했어도 방관자에 머무르지 않았어야 했다.우리 사회가 지역, 성별, 세대, 정치 성향 등으로 극한의 갈등이 고조되는 것은 시민의식이 성숙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서양의 개인주의가 이기주의로 변질되며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이 일상화됐다. 대통령 탄핵 정국이 이어지고 있지만 국정원 수험생에게 몇 가지 당부의 말을 전하고 싶다.첫째, 정보요원은 최고 정책결정권자와 상사에게 진실을 말하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자칫 정치적 편향성을 갖고 있거나 집단사고(Group Think)로 정보분석에 오류가 생기면 국가 위기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12·3 비상계엄령도 부정선거 음모론에 심취한 소수 정책결정권자가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 부정이 없었다고 주장하고 명백한 관련 증거가 없었음에도 진실을 파악하려는 노력을 게을리했다. 정책결정권자가 오판하는데 밑거름이 된 보고서를 작성한 정보분석관이나 정보기관 수장이 책임을 져야 한다.둘째, 정보기관은 국가 정책을 주도하는 것이 아니자 조언자에 머물러야 한다. 군 정보기관인 방첩사나 정보사 모두 최고정책결정자의 왜곡된 정보판단을 수정하도록 설득하는 대신에 계엄에 적극적으로 동참했다.정보와 정책은 이격돼야 한다는 원칙을 저버린 셈이다. 정책은 정보의 영역을 넘나들 수 있지만 정보는 정책 수립과 집행에 관여해서 안 된다. 최고정책결정권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할 때도 정치적 관점을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셋째, 정보요원은 자신의 권력욕보다 국가안보를 우선해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국가를 위해 봉사하고 희생할 때 승진은 보장되고 사회적 존경을 뒤따라온다. 애국심과 헌신이 첫 번째 인재상인 이유를 깨달아야 한다.과거 군사 쿠데타 세력이 권력자로 변신해 부귀영화를 누린 역사적 사실에 현혹당하면 안 된다. 비뚤어진 엘리트 의식으로 잘못된 야먕을 펼치려고 시도하다 패가망신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이번 비상계엄령에 동참한 핵심 세력의 처지가 그러하다.마지막으로 성숙한 시민의식과 투철한 직업정신으로 무장한 MZ 세대가 불행한 과거를 청산하고 국정원의 밝은 미래를 이끌어나가길 바란다. 국정원은 최고 국가정보기관으로서 부끄럽지 않은 역량을 보여줘야 한다. 2025.1.20.민진규
-
2023-04-04국정원 국가정보적격성검사(NIAT)-직무와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22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220p 관련 질문정보분석 오류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라크 전쟁은 고객과신주의(Clientism, 클라이언티즘), 레이어링(Layering) 현상 둘 다 해당되나요?? -->이라크 전쟁은 엄밀하게 말하면 복합적이기는 하지만 집단사고(Group Think)의 문제로만 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3-04-03국정원 국가정보적격성검사(NIAT)-직무와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21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216p 관련 질문다름이 아니라 문제를 풀다가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요! 국가정보학 36페이지 내용 중에 (1)거울효과, 집단사고, 클라이언티즘, 겹층쌓기, 주석전쟁 이 다섯 개를 공통의 오류로 보아도 괜찮은가요?? 혹시 이것 말고도 (2)늑대소년효과, 스웜볼, 상부상조방식, 인질담보, 전령 죽이기, 부처이기주의, 최소공통분모, 인정된 견해 중에서 공통으로 삼는 오류가 또 있을까요?? -->정보분석관의 오류는 분석관 개인의 오류와 분석관이 동료와의 협업관계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구분됩니다. 해당 내용은 36페이지가 아니라 "민진규 국가정보학" 216페이지에 잘 정리돼 있습니다. 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3-04-03국정원 국가정보적격성검사(NIAT)-직무와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21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234p 관련 질문정보분석관 개인의 오류는 미러이미지, 고객주의, 늑대소년 효과가 있고 정보 분석관이 협업시 나타나는 정보기관의 오류로 스웜볼, 레이어링, 집단사고 경직성, 인정된 견해가 있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p234, 59번에서 기관과 개인의 오류 모두 포함되는 건 ㄱ, ㄴ, ㄷ이 아닌가 궁금합니다! --> 2번이 정답입니다. 정보분석관의 오류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지만 책에서 제시한 기준을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3-03-31국정원 국가정보적격성검사(NIAT)-직무와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20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15p 관련 질문3장 정보소비자와 생산자에 관한 질문입니다. 115쪽 78번 ②번 선지 "2차중동전쟁은 CIA의 집단사고로 인한 정보실패로 명분을 잃었다"라고 설명되 있는데 구글 검색해봐도 2차중동전쟁과 CIA에 관한 내용은 안 나와서요. --> 2차 중동전쟁은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공격한 전쟁을 말합니다. 당시 이집트의 나세르 대통령이 수에즈운하를 국유화하자 프랑스와 영국이 이스라엘을 충동질해 전쟁을 일으킨 것입니다. 하지만 미국 CIA는 이스라엘이 공격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지만 전쟁이 일어났고, 이집트가 미국 및 유럽과 대항하는 중동의 대표국가로 부상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의 중동에서 영향력도 크게 쇠퇴하게 되었습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3-03-31국정원 국가정보적격성검사(NIAT)-직무와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20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206 & 220p 관련 질문5장 정보분석 책 206쪽 19번 220쪽 78번문제 19 정보분석 과정에서 정보분석관이 범할 수 있는 오류는 무엇인가?⓵ 미러이미지 ⓶ 집단사고 ⓷ 주석전쟁 ⓸ 늑대소년 효과답 ⓵문제 78 다음 정보분석 중 정보분석관의 오류에 포함되는 것은?⓵ Group Think ⓶ Mirror Image⓷ Layering ⓸ Swarm Ball답 ⓸책 94쪽 (1)정보분석관의 오류는 Mirror Image, Group Think이고, (3) 기타 사유로 실패등은 주석전쟁, Cry Wolf Effect, Layering, Received Opinion, Group Think, Lowest Common Denominator Language, Backstitching and Logrolling 등으로 문제 19, 78번이 왜 각각 답인지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분석관개인의 오류는 mirror image, clientism, cry wolf effect이고 나머지는 모두 정보분석관이 동료와 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명확하게 정리가 되지 않아서입니다. 정보분석관의 오류에 대해서 다시 한번 더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3-03-16국정원 국가정보적격성검사(NIAT)-직무와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20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112p 관련 질문2020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교재 112페이지 65번 문제의 정답이 교재상 ③번으로 되어있는데 혹시 정답이 ④번 정보조작으로 인한 실패(영국과 미국 정보기관의 정보조작)가 아닌가 해서 문의 드립니다. -->영국과 미국의 정보기관이 적극적으로 정보를 조작했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다만 집단사고(group think)로 정책결정권자가 원하는 정보를 생산하는데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3-02-15국정원 국가정보적격성검사(NIAT)-직무와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19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202p 관련 질문국가정보학 9판 p.202 78번 문제 질문입니다. ‘정보분석관의 오류에 포함되는 것은?’ 이라는 문제인데. 집단사고의 경직성은 분석부서의 오류라 제외하고 미러 이미지는 오류라기 보단 분석관의 잘못된 마인드라 제외한다고 해도 3번과 4번이 남는데, 왜 답이 4번인지 설명 부탁 드립니다. ㅠㅠ --> Layering은 정보기관이 과거의 분석결과를 신뢰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현실적으로 정보부서의 오류와 정보분석관의 오류를 명확하게 구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양자의 문제점이나 업무가 복합적으로 연계돼 있기 때문이다. 실제 78번 문제는 수험생의 기억에 의존해서 복기한 기출문제인데 복기가 정확한지 확신을 하기 어렵습니다. 수험생들이 설명해 주는 대로 정리한 것인데, 국내에 처음 관련 이론을 소개한 저자의 입장에서도 직접 문제를 보지 않는 이상 ‘정답이 어느 것이다’라고 결론을 내리기 쉽지 않습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3-02-15국정원 국가정보적격성검사(NIAT)-직무와 군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국가정보학을 공부하는 수험생들로부터 오는 질문 중 다른 수험생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질문 내용: 2019년 민진규 국가정보학 9판 100p 관련 질문9판 1006p 65~67번까지 해설해 주신 부분은 잘 읽어 보았습니다. 그런데 미국의 이라크 전쟁과 같은 경우에는 2004년 의회 특별조사위원회에서 공보공동체(Intelligence Community) 간의 정보공유 실패를 알리기도 했으나 정보 실패 주요 원인으로 정보 분석상의 오류라 판명을 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할 때는 어떻게 판단을 해야 하나요? --> 객관식 문제는 특성상 100% 정답이 없을 경우에 더 많이 틀렸다고 생각하는 지문을 정답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이라크전쟁을 오판한 것은 정보분석, 즉 집단사고의 경직성으로 보는 것이적절합니다. 위의 내용은 국가정보학 수험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사항이 있는 수험생은 이메일 (stmin@hotmail.com)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1
2